생육환경
음지와 양지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추위와 건조에 잘 견디며 공해와 염기에도 강하여 어느 지역에서나 적응을 잘한다.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비교적 어떤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.
생육적온은 16~30℃이고 -20℃ 이하에서도 월동하며, 35℃이상에서도 잘 견딘다.
꽃/번식방법
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하는데, 주로 삽목에 의해 번식한다.
①실생 : 종자를 파종할 수도 있으나 발아율이 좋지 않으므로 대체적으로는 이용하지 않는다.
②삽목: 봄 3월 하순경에 지난해 자란 가지면 더욱 좋고 그렇지 않을 때는 묵은 가지도 좋다. 30cm 길이로 잘라 밭에 2/3 정도 묻히게 꽂아 두면 쉽게 활착한다.
③휘묻이: 늘어진 가지를 중간쯤 위치에서 땅에 묻고 끝 부분은 지상에 나오게 해두면 뿌리가 난다. 이것을 잘라 독립시키면 된다.
④포기나누기: 낙엽 후나 이른 봄에 포기를 파내어 2-3으로 쪼갠 후 지상부를 1/3가량 줄이고 심으면 된다. 포기나누기 할 때 줄기에 뿌리가 조금만 달려 있는 줄기는 따로 떼어 심어도 잘 활착한다.
이용방안
▶정원수나 울타리용수, 공원용수, 옥상 정원용수로 좋다. 도로변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화목으로 심으며 차폐(遮蔽)를 요하는 곳에 심으면 좋다. 또 경계식재나 사방용 식재, 단식, 열식, 군식 등 다양하게 이용한다.
▶염료식물로 이용한다. - 봄보다 가을에 채취한 것의 색상이 짙으며 반복 염색하여 짙은색을 얻을 수 있다.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염료이다.
▶개나리/만리화의 과실을 連翹(연교), 根(근)은 連翹根(연교근), 莖葉(경엽)은 連翹莖葉(연교경엽)이라 하며 약용한다.
⑴連翹(연교)
①과실이 익기 시작할 때 채취하여 잘 쪄서 햇볕에 말린다. 또는 완숙한 과실은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.
②성분 : 과실에는 forsythol, sterol 화합물, sapinin(無溶血性(무용혈성)), flavonol 配糖體類(배당체류), matairesi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oleanolic aicd가 함유되어 있다. 靑連翹(청연교)에는 saponin 4.89%, alkaloid 0.2%가 함유되어 있고 phylligenin, pinoresinol, bisepoxylignan 등이 함유되어 있다.
③약효 : 淸熱(청열), 해독, 散結(산결), 消腫(소종)의 효능이 있다. 溫熱(온열), 丹毒(단독), 斑疹(반진-猩紅熱(성홍열) 등의 피부발진), 癰瘍腫毒(옹양종독), 나력, 小便淋閉(소변임폐)를 치료한다.
④용법/용량 : 9-15g을 달여서 복용한다. 또는 丸劑(환제), 散劑(산제)로 하여 쓴다. <외용> 달인 液(액)으로 씻는다.
⑵連翹根(연교근) - Typhus에 의한 열로 신체가 황색으로 되기 시작하는 증상을 치료한다.
⑶連翹莖葉(연교경엽)
①성분 : 신선한 葉枝(엽지)에는 forsythin이 함유되어 있고 가지에는 4종의 非(비) glycoside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. 건조된 꽃에는 rutin이 2.08% 함유되어 있다.
②약효 : 心肺(심폐)의 積熱(적열)을 치료한다.
③용법/용량 : 6-9g을 달여서 복용한다.
번호 |
제 목 |
글쓴이 |
|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꽃에관한 정보 이용안내 | 에이플라워 |
411 | 2009-11-09 |
68 | 장미 관리요령 | 에이플라워 |
808 | 2009-12-15 |
67 | 봉숭아 꽃 키우기 | 에이플라워 |
1050 | 2009-12-15 |
66 | 난초관리방법 | 에이플라워 |
1288 | 2009-12-08 |
65 | 나팔꽃에관한 정보 | 에이플라워 |
699 | 2009-12-08 |
64 | 지칭개꽃소개및관리 | 에이플라워 |
728 | 2009-12-08 |
63 | 개나리관리방법 | 에이플라워 |
415 | 2009-12-08 |
62 | 진달래와 철쭉 구별법 | 에이플라워 |
473 | 2009-12-08 |
61 | 코스모스관리요령 | 에이플라워 |
393 | 2009-12-08 |
60 | 꽃바구니관리요령 | 에이플라워 |
1077 | 2009-12-04 |